|
|
|
|
|
|
|
|
|
|
정의 |
|
열대지방과 아열대지방에서는 기생충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어린이들이 많이 감염되는데 그 이유는 공중위생 상태가 좋지 않거나 개인 위생 상태가 불결하기 때문이다. 열대지방으로 여행했던 사람들에게 발생하는 질환이다. |
유형 |
|
주로 중앙아메리카, 남부아메리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열대지방과 아열대지방을 여행했던 사람들이 걸리는 윤충 감염은 다음과 같이 네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선모충증 이 병은 선모충이라는 작은 기생충에 의해 발생한다. 대개 충란에 오염된 덜 익은 돼지고기를 먹었을 때 감염된다. 심한 경우엔 구토, 설사, 복통, 근육통, 열감 증세가 나타난다. 또한 급성 심부전이나 뇌수막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분선충증 작은 분선충에 의해 발생한다. 유충으로 오염된 땅을 맨발로 다니면 감염될 수 있다. 심한 경우엔 복통, 설사, 변비, 체중감소가 나타난다. 몇 년 동안 잠복상태로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이를테면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경우에 증상이 나타난다. 사상충증 다양한 형태의 사상충류 유충과 성충이 증상을 일으킨다. 흡혈 곤충이 옮기는데, 기생충의 종류에 따라 손상되는 부위가 다르다. 어떤 경우엔 통증이 심하고 다리나 음낭이 많이 붓기 때문에 코끼리 다리처럼 보인다. 어떤 사상충에 감염되면 실명할 수도 있다. 편충증 어린이들에게 흔하게 나타난다. 충란을 먹었을 때 감염된다. 장에서 성충이 서식하며, 심한 경우엔 혈변을 보고 복통을 호소하며 체중이 감소하기도 한다. |
치료 |
|
대변과 혈액, 조직에서 충란과 유충, 또는 성충이 발견되면 감염된 것으로 진단한다. 치료방법은 다양하지만 주로 구충제를 복용한다. 대부분 초기에 치료하면 회복되지만 열대지방에서는 다시 감염되는 경우도 흔하다. 맨발로 다니지 않고, 덜 익은 고기나 음식을 먹지 않으며 해충퇴치제나 모기장을 사용하여 예방한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