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정의 |
|
간과 방광을 손상하는 흡충증으로 주로 어린이들이 감염된다. 열대지방의 호수나 운하, 그리고 염소 처리가 안 된 물에서 수영하면 감염될 수 있다. 주혈흡충류에는 다섯 가지가 있다. 달팽이가 배설한 유충이 있는 담수에서 수영할 때 유충이 사람의 피부를 뚫고 체내로 들어간다. 그곳에서 기생충은 성충으로 자라고 암컷이 생산한 알이 염증을 일으킨다.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주혈흡충증이 나타나고 전세계적으로 2억명 정도가 감염되었다. 주로 열대지방을 여행한 사람들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
증상 |
|
흡충의 종류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감염되고 며칠이 지나면 가려움증이 나타나는데 대부분 감염된 피부 부위가 가렵기 때문에 고통스러워한다. 증상이 나타나는 정도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4-6주가 지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열이 난다. * 근육통이 생긴다. * 설사를 한다. * 기침과 구토를 한다. * 소변을 자주 보며, 소변을 볼 때 화끈화끈한 작열감이 느껴진다. *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온다. 특히 소변 끝에 혈뇨 증상이 나타난다. 치료를 받지 않으면 간과 신장이 손상되는데 이로 인해 목숨을 잃는 경우가 많다. 치료받지 않고 만성화되면 결장암이나 방광암을 일으키기도 한다. |
치료 |
|
소변이나 대변에서 흡충의 충낭이 확인되면 감염된 것으로 진단한다. 때로는 직장 조직을 검사하여 충란을 관찰하기도 한다. 기생충에 대한 항체 검사와 조직 검사를 병행한다. 대부분 구충제로 기생충을 박멸할 수 있다. 질환이 발생하는 지역의 담수에서 수영하지 않으면 예방이 가능하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