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정의 |
|
농가진은 상처 부위나 습진 부위, 혹은 동상 부위 등으로 세균이 들어가서 발생한다. 전염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신체적 접촉에 의해 퍼지며 어린이들에게 흔하다. |
증상 |
|
농가진은 신체 어느 부위에나 생길 수 있으나 주로 얼굴, 특히 코나 입 주위에 흔히 발생한다. 하루나 이틀에 걸쳐 다음과 같은 증상이 생긴다. * 피부가 붉어지며 작은 물집이 생긴다. * 물집이 터지면 노란색 액체가 나온다. * 물집 아래 피부는 붉어지고 분비물이 흘러나온다. * 물집이 마르면 딱지가 앉으면서 가렵다. |
치료 |
|
의사는 국소 항생제나 경구용 항생제를 처방한다. 딱지가 앉은 부위를 따뜻한 소금물에 담그면 딱지를 제거하거나 가려움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치료를 하면 농가진은 수일 내로 없어진다. 다른 부위로 퍼지는 것을 막으려면 손을 자주 씻고 수건을 따로 사용해야 한다. 농가진을 앓는 학생은 학교를 쉬도록 한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