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정의 |
|
간질 환자는 반복적으로 경련을 일으키거나 잠시 동안 의식 변화를 보이는데 이는 뇌의 내부에서 비정상적인 전기적 활동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간질은 흔하게 발견되는 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약 20만-40만명 정도로 전인구의 0.5%-1%가 앓고 있다. 이 질환은 보통 유년기에 발생하여 점차 없어지는 경향이 있으나 노년에도 간질을 앓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뇌졸중 등 원인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간질 환자 대부분은 정상생활을 영위하지만 반복적으로 경련이 자주 생기는 경우에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 |
원인 |
|
간질 환자 10명 중 6명은 원인이 불명확하다. 이러한 경우는 유전적인 요소가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반복성 경련이 뇌 손상 또는 질병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있는데 뇌수막염과 같은 감염, 뇌졸중, 뇌종양, 심한 두부 손상 후에 오는 흉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간질 환자는 수면 부족이나 불규칙한 식사로 인해 경련이 유발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과음이나 반짝이는 불빛, 깜박거리는 TV, 컴퓨터 모니터 등 시각적인 자극도 유발 인자가 될 수 있다. 일회성 경련은 간질이라고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어린이들은 고열을 앓고 난 후 열성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장기간 과음을 하는 사람은 과음을 한 후 또는 금주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경련이 발생할 수 있다(알코올중독). 당뇨병 환자는 혈당 수치가 아주 낮아도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