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로그인
|
|
|
|
|
|
|
|
|
|
DISEASE DICTIONARY
질병사전 - 분류별
감염과 기생
귀, 청각과 평형
근골격계
남성생식기관
눈과 시각
비뇨기계
성과 생식
소화기계
신경계와 정신기능
심혈관계
여성생식기관
영아기와 유아기
외상과 사고
유전자와 유전
임신과 출산
치아와 잇몸
피부
혈액과 림프,면역계
호르몬과 대사
호흡기계
DISEASE DICTIONARY
질병사전 - 병명별
중복된 병명이 있는 경우는 분류 다른 곳에도 있기 때문입니다.(어른질병, 어린이 질병)
질병사전
 정의
손떨림과 운동 장애가 생기는 진행성 뇌질환이다. 파킨슨병은 미세한 움직임을 조절하는 뇌 부위인 기저핵에 있는 세포들이 퇴행함에 따라 생기는 질환이다. 정상 세포는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생성하고 아세틸콜린과 작용하여 미세 운동을 조절한다.
 이 병은 남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 원인은 불확실하지만 환자 10명 중 3명은 가족 중에 파킨슨병 환자가 있다. 파킨슨 증후군은 파킨슨병 중 원인이 알려져 있거나 약물이 원인이 되어 발병한 경우를 지칭한다. 반복적인 두부 손상이나 특정 항정신병 약물이 파킨슨 증후군을 일으킨다. 
 증상
파킨슨병은 다음과 같은 주요 증상이 수개월이나 수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지만, 파킨슨 증후군은 원인에 따라 갑자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한쪽 손, 팔, 다리가 떨린다(진전). 가만히 있을 때 더욱 심하게 나타나며, 결국엔 양쪽 모두 진전 증상을 보인다.
 * 근육이 경직되면서 운동을 하기가 어려워진다.
 * 움직임이 느려진다.
 * 보행시 팔을 흔들지 않으며 신발을 끌면서 걷게 된다.
 * 얼굴이 무표정해져서 마치 마스크를 쓴 것처럼 보인다.
 * 자세가 구부정해진다.
 
 질환이 점차 진행됨에 따라 경직이 심해져서 움직이기가 어렵고 손이 많이 떨려서 일상생활에 지장을 느낄 정도가 된다. 말이 느려지고 연하 작용이 힘들어지기도 한다. 많은 환자들이 우울증에 빠진다. 환자 10명 중 3명은 결국 치매 현상을 보인다. 
 진단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은 서서히 나타나므로 초기 진단이 어려운 경우도 많다. 의사가 진찰 후 다른 질환을 감별할 목적으로 CT 촬영이나 MRI 촬영 등 영상진단 검사를 시행하고 증상의 원인이 발견되면 파킨슨 증후군으로 진단한다. 
 치료
원인 치료가 없으며 약물치료, 물리치료, 드물게는 수술적인 치료가 이루어진다. 약물에 의해 파킨슨 증후군이 생긴 경우에는 원인이 된 약물 복용을 중단하는데 그후 8주 이내로 증상이 사라지지 않고 지속되면 파킨슨병 치료 약물로 치료해야 한다.
 약물치료 파킨슨병 초기 단계로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약물치료가 필요없는데 이는 약물이 질병의 진행을 막는 데 별 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약물을 사용하게 될 경우, 증상 완화를 위해 도파민을 증가시키거나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억제시켜 뇌의 화학적 이상 작용을 조절해야 한다.
 약물의 종류나 복용량은 환자 개인에 따라 다르며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도 처방된다. 손과 발의 떨림과 경직을 줄이기 위해 트리핵시페니딜 등 항콜린성 약물을 가장 먼저 처방한다. 항콜린 약물은 수년 동안 효과가 지속되지만 입이 마르고 눈이 침침하며 소변 보기가 어려운 증상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파킨슨병에 대한 주 치료 약물인 레보도파는 뇌에서 부족한 도파민을 증가시켜준다. 레보도파는 운동장애 등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지만 복용 초기에는 메스꺼움, 구토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약물 복용량은 서서히 증가시키고 카비도파나 벤세라지드 등 레보도파의 복용량을 줄일 수 있는 약물과 함께 투여한다. 그러나 일부 환자들은 몸을 갑자기 뒤트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한다. 레보도파는 보통 2-5년간 효과를 보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엔 약을 복용한 후 정상 운동이 가능하던 환자가 갑자기 약해지거나 움직일 수 없게 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뇌의 도파민 활성을 증가시키는 셀레질린과 도파민 작용제인 브로모크립틴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약물들은 혼동, 환각, 때로는 공격적인 행동을 일으킬 수 있다. 파킨슨병에 대한 완벽한 치료법은 없다.
 물리치료 운동장애 완화를 위해 물리치료를, 언어장애 치료를 위해 언어치료를 실시한다. 작업치료사는 환자가 가정에서 활동하기 힘들 경우에 손잡이 등을 설치하여 생활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도와준다.
 수술치료 건강한 젊은 환자의 경우, 진전이 약으로 조절되지 않으면 진전을 일으키는 뇌 부위를 파괴하는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현재 연구중인 치료로 뇌조직 이식술과 심부 뇌 자극술이 있다. 특히 심부 뇌 자극술의 경우에는 효과가 높아서 앞으로 기대되고 있다. 
 예방
경과는 다양하지만 약물을 사용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진단 후 수년 동안 왕성하게 활동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환자들은 결국엔 일상생활을 해나가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소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제휴 및 문의 |  웹사이트 배너
Copyright © 2024 8healthplans.com. New York, USA. All rights reserved.